♤ 영유아기에 발생 가능한 법정 전염병에 관한 안내 ♤ 병명 | 발생상황 | 증 상 | 예방대책 | 디프테리아 | -11~4월에 발생 -4세 이하의 환자가 전체의 60% | -발열, 전신에 힘이 없고, 목 아픔 -인후가 충혈되고 편도선에 위막이 형성됨 -심하면 숨쉬기가 곤란하며 쉰 목소리가 남 | -예방접종 -환자는 격리 -유행시 보건소에 보고 | 백일해 | -3~6월에 발생 -전염률이 높음 -일단 병에 걸리면 재발하지 않음 | -감기처럼 시작하여 기침이 점점 심해지고 경련성 해소 발작을 일으킴 | -예방접종 -환자는 격리 -유행시 보건소에 보고 | 유행성 이하선염 (볼거리) | -겨울과 봄에 많이 발생 -한번 앓고 나면 면역이 됨 | -오한, 두통, 미열이 1~2일간 계속 -한쪽 또는 양쪽 볼이 커지며 붓고, 입을 벌리거나 음식을 삼킬 때 아픔 | -예방접종 -환자는 격리 -유행시 보건소에 보고 | 홍역 | -4~6월에 발생 -만 2세 전후하여 잘 걸림 -한번 앓고 나면 면역이 됨 | -열, 두통, 근육통, 결막염 증상, 콧물, 재채기 -귀의 뒤쪽, 목, 앞이마에 발진이 나타나 점차 아래로 퍼져서 마지막에 팔, 다리에 생김 -39~40℃의 고열, 기침 -발진이 사라지면 열이 내리고 증상이 사라짐 | -예방접종 -발진이 일어난 후 일주일 동안 격리시킴 | 풍진 | -이른 봄에서 6월까지 많이 발생 | -두통, 근육통, 열이 나며 목 뒤의 임파선이 커지면서 발진이 생김. -특히 목뒤, 귀뒤, 머리 뒤쪽이 부어서 만지면 아픔 -발진은 첫날은 얼굴과 목에, 다음날은 가슴, 등, 팔 등에 새롭게 나타남 | -예방접종 -감염된 환자는 격리시킴 | 일본 뇌염 | -한국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발생 -여름에 발생 | -초기에 두통, 팔다리 쑤심, 구토, 설사를 동반 -증상이 심할 때 고열, 흥분, 경련, 팔, 다리 마비 등이 있음 -후유증으로 기억력, 계산능력이 나빠지고 언어장애, 운동장애가 일어날 수 있음 | -매개충인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, -예방접종 -유행시 환자를 격리시킬 필요는 없고 환자가 사용하던 물건에 대한 소독도 필요없음 | 세균성 이질 | -위생상태가 나쁘고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많이 발생 -전염력이 매우 강함 | -설사, 심한 복통, 오한, 열이 나고 심하면 탈수와 허탈 상태에 빠짐 | -유용한 백신이 없음 -환자는 격리 -유행시 보건소에 보고 -상하수도 완비/음료수 정화/염소소독이 중요 -손을 청결히 할 것 |
|